자동차와 도시를 스마트화하는 ‘알리 OS’
알리바바는 아마존의 알렉사에 필적하는 오픈 플랫폼도 갖고 있다. 이름은 ‘알리 OS’, 2017년 9월에 발표된 신분야이다. 기술적인 콘셉트는 알렉사나 구글 어시스턴트와 아주 유사하다.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나 스피커, 가전제품, 자동차 등에 ‘알리 OS’를 탑재함으로써 스마트화 할 수 있다. 다양한 사물을 IoT 화하는 기본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알리 OS’의 특징은 오픈 플랫폼이라는 점이다. 제3의 사업자는 ‘알리 OS’를 이용하여 독자적인 IoT 제품, 스마트 디바이스,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알리 OS’는 중국의 자동차 메이커인 상하이 자동차가 개발 중인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에 탑재될 예정이다. 그 외에 미국의 포드, 프랑스의 푸조가 중국 현지법인에서 전기자동차를 개발하는 데 ‘알리 OS’를 채택하고 있다.
또 한 중국 정부는 ‘차세대 인공지능의 개방‧혁신 플랫폼(2017년 11월 발표)에서 AI를 국책 사업으로 지정하여 4가지 테마를 제시하고 각 테마별로 위탁 개발자를 발표하였다. 이 가운데 알리바바 그룹이 위탁받은 국책 사업은 ’도시의 AI화‘이다.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교통‧수도‧에너지 같은 인프라 등 도시에 관한 모든 정보를 빅 데이터화하고 이 정보들을 AI로 분석하여 교통 체증의 해소, 경찰 출동이나 구급 대응, 도시계획 등 국민과 사회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스마트시티의 실현에 ’알리 OS’가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알리바바 본사가 있는 항저우의 알리바바 파크 주변은 알리바바 본사, 알리바바가 처음으로 실현한 최첨단 상업시설, 미래형 AI 호텔, 알리바바 직원의 주거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곳은 이미 스마트시티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거지의 옥상에는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 등 청정에너지 생산 시설이 있다.
즉 알리바바 파크 자체가 플랫폼이나 생태계를 실현해 보임으로써, 향후 미래 중국 도시의 모델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알리바바는 중국 정부가 허베이 성에 지정한 첨단 신도시 프로젝트와 AI, 핀테크, 물류 등의 분야에서 협력할 것임을 발표하였다. 또 상하이 지하철도에 AI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상하이 선퉁 지하철 그룹(申通地下鐵集團)과 제휴 관계를 구축하였다.
지금까지 알리바바의 주요 사업 분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알리바바가 아마존에 전혀 뒤지지 않는 기업일 뿐만 아니라, 몇 가지 점에서는 아마존을 웃도는 성과를 올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의 기업 조사 업체인 CB Insights에 의하면 중국에는 고성장 기업의 상징인 ‘유니콘 기업 즉 창업 10년 이내에 10억 달러 이상의 시가총액을 가지는 비상장기업들이 47곳 있는데, 이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숫자이다. 그중에서도 알리바바 그룹에 속한 기업이 7곳이나 된다. 이를 통해 알리바바 그룹이 급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텐센트는 페이스북을, 알리바바는 아마존을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디지털이 산업 간 경계를 허물면서 배트맨은 막대한 자금력으로 유망 기업을 인수 합병하며 다른 산업에 뛰어든다. 배트맨(BAT=Baidu, Alibaba, Tencent)은 업종과 기술 구분 없이 쌍끌이 저인망식으로 인수하고 합병한다. 국적에 관계없이 바이오, 자동차, 금융, 엔터테인먼트, 물류, 하드웨어 등 업종 구분 없이 마구 사들인다. 인공지능, 로봇, 가상현실, 자율주행 자동차, 신재생 에너지 등 최첨단 기술기업들을 인수한다.
배트맨이 두려움 없이 문어발 경영을 하는 이유는 디지털 시장은 승자의 저주가 없기 때문이다. 규모를 키우는 데는 성공했지만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망하는 것이 승자의 저주이다. 반면 디지털 기반의 배트맨은 M & A 이후 비용 구조를 낮춘다. 오프라인 기반 기업은 공간과 인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규모를 키울수록 비용이 커진다.
반명 배트맨은 단일 디지털 플랫폼에 인수 합병한 기업을 위치시킴으로써 공간, 인력, 중간유통 등 비용을 줄여 회사의 가치를 높인다. 특히 자사 플랫폼의 힘을 극대화하기 위해 O2O(Online To Offline) 사업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구현한다. 2013년 O2O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다양한 분야에 많은 스타트업이 출현하자, 배트맨은 각 분야의 알짜 기업들을 인수하여 자사 플랫폼에 흡수시켰다.
'중국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기업 탐구] "텐센트 그룹(2)", AI 전략 (0) | 2023.03.03 |
---|---|
[중국 기업 탐구] "텐센트 그룹(1)", SNS로 게임이나 결제 서비스까지 확대 (0) | 2023.03.03 |
[중국 기업 탐구] "알리 클라우드", 알리바바 그룹(4) 클라우드 서비스 (1) | 2023.03.02 |
[중국 기업 탐구] "알리페이", 알리바바그룹(3)의 금융업 진출 (0) | 2023.03.01 |
[중국 기업 탐구] 알리바바 그룹(2)의 "차이냐오" 물류 네트워크 (1) | 2023.02.27 |